교육안내

승가학부

>
>

승가학부

승가학부 소개

오늘날의 승가는 미래를 선도하고 인류 공동체에 이바지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와 거시적 안목을 갖추고, 창의적이고 융합적으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합니다.
상구보리하화중생하는출가수행자로서의 정체성을 오롯이 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기화, 생활화, 대중화할 수 있는 수행과 전법교육을 종합적으로 체득하는 교육을 하고자 합니다.
경전에 근거한 수행 역량, 전법교화를 위한 지식과 이를 원융무애하게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등 이 시대의 출가수행자로서 갖추어야 하는 덕목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승가학부의 특성

1. [부처님 가르침의 자기화] 출가수행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공동과정
•전통 강원의 기본 교과를 학습하는 경전(내전) 교육
•현대 불교학의 교학적 성과를 학습하는 교학 교육
•경전 및 논서에 근거한 수행이론의 학습과 실참

2. [부처님 가르침의 생활화] 수행의 일상화/생활화를 위한 실참 과정
•매일 오전, 4대 수행(간경, 염불, 참선, 사경) 실참
•매주 1회, 전법교화를 위한 봉사활동 또는 자기주도 수행프로그램 운영

3. [부처님 가르침의 대중화] 미래 불교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심화 및 자격인증 과정
•전법교화와 사찰 운영을 위한 교육
•불교계와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전문가 양성 교육

4. [융합적 인재 양성] 심화 및 자격인증 과정 교과목의 자유로운 선택
•기본교육 대상자[사미(니)]는 공동 교과과정 필수 이수
•이수한 교과목에 따라 4학년 2학기에 졸업 전공명 결정
•자격인증 과정 이수자는 관련 수료증 발급

심화교과과정

•공동 교과과정 : 불교학·역경학 과정
•심화 교과과정 : 불교·역경 과정, 선명상상담 과정, 포교(실천불교) 과정, 불교문화유산 과정
•자격인증 과정 : 불교계 및 사회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자격인증 과정 (30학점 이내)을 운영할계획임
(예시: 종무행정 과정, 불교문화해설사 과정, 템플스테이 지도법사과정, 선명상지도자 과정 등)

승가학부 교과과정

- 불교·역경 과정
부처님의 근본 정신에 근거해 불국토를 건설할 지·덕·행을 닦고, 제 종파의 교리·역사·의식을 망라하여 교과과정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불전 번역을 수행할 전문가를 양성하기위해 다양한 경전 언어 및 교학사상을 이해하고 수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선명상상담 과정
불교적 관점에서 참선과 마음치유 등 각종 명상에 연구와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전통적인 선 수행방법과 다양한 현대 명상 프로그램 운영 능력을 개발하고, 상담을 통해 대중의 고통을 구제할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 포교(실천불교) 과정
부처님께서는 승가에 전법교화를 부촉했습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불교와 사회현상의 관계속에서 포교의 주체, 내용, 방법, 환경, 그리고 효과 등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학습함으로써 불법 홍포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 불교문화유산 과정
사찰문화유산을 보존, 계승하는 승가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기 위해 불교문화유산 전반에대한 지식 습득과 불교문화재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 과학적인 보존 처리 기법 등을 익힐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교양 교과과정

- 사회복지사자격취득과정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복지사회를 구현하고, 우리 사회의 현실에 부합하는복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복지 분야의 지식과 다양한 이론을 습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공통 - 경전

공통 - 교리

공통 - 수행

공통 - 전법

심화과정 - 불교•역경

심화과정 - 선명상상담학

심화과정 - 포교(실천불교)

심화과정 - 불교문화유산

교양공통

교양 - 사회복지사자격취득과정